카테고리 없음

미국단위계는 분수(fractional number ) 체계다.

날틀 2022. 2. 16. 15:53

22-1 미국단위계 기본은 분수(fractional number ) 체계다.

공군에서 6년 5개월 탑승정비(loadmaster)하다 현재 회사의 특기샵에 배속되어 첫 업무를 하게 되었는데 첫날 너트 플레이트(plate nut) 장착하라는 오더를 받았는데 정말 아는게 하다도 없어 어떻게 작업 하는지 선임(사수)에게 질문을 했다.

비행기만 타다 온 라인 정비사가 특기샵에 배속 받았기에 일종의 테스트였다.

이거는 삼삼(3/32), 팔하나(1/8), 삼오(5/32),십육삼(3/16)인데 너트 플레이트(plate nut)는 삼삼(3/32) 드릴 비트를 이용하고 구멍 뚫고 삼삼(3/32)을 클레코 이용하여 임시 고정하고 삼삼(3/32) 리벳을 장착하면 된다고 알려 주셨다.

그날 이후 인치에 대한 공부를 하였는데 지금에서야 인치의 어려움을 정리하는 정도가 된것 같습니다.

미국 단위계인 인치의 기본은 분수(fractional number ) 체계다.

인치의 1인치를 반으로 나누는 순간 분수가 된다.

1인치를 반으로 나누면 1/2,

1/2 다시 나누면 1/4,

1/4을 다시 반으로 나누면 1/8,

이렇게 해서 1/16, 1/32, 1/64 까지 나누어 사용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1/128, 1/256을 사용하기도 하나 극히 드물다.

인치를 반으로 나누지 않고

미터법의 기본인 십진수로 나누어도 소숫점 이하로 되며 분수로

0.1, 0.2, 0.3~~~1, 이 1/10, 2/10, 3/10~~~1 과 같이 표기된다.

가장 크 특징은 미터법은 기본이 양의 수(양수)인데 반해

미국단위계는 1인치 이하로 가면 음의 수(음수) 표기가 된다.

미국 단위계의 1인치는 25.4 mm 미터법의 1 mm 보다 25배 이상 큰 수임에도 1인치를 반으로 나누면 분수 표기 동시 음의 수로 변경된다.

그래서 미터법에 익숙한 우리에게는 가까이 하기에 너무 먼 미국 단위계이다.

물론 미터법도 1 mm 이하는 음수 표기를 하나 십진법 표기로 인해 이해하기 쉽다.

반면 미국단위계는 1 mm를 분수로 표기하면 음의 수(음수) 0.03937인데 일반적으로 39(40)라고 양의 수로 말하며 사용한다. 단 표기는 정확히 사용한다.

1mm = 0.039397"

어떻게 이해 되시는가요?

아니면 이해 하시는가요?

쉬운 1이라는 양의 숫자를 0.03937이라 소수점 이하 5자리까지 외우고 사용해야합니다. 실상은 39(삼십구)라고 양수로 서로 작업자간 소통합니다.

반올림해도 39는 맞지만 기계에서는 불분명한 수치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40(사십)으로 편리하게 사용합니다. 40뿐만 아니라 39도 아니다 기다(맞다)라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이는 우리뿐 아니라 미국 작업자도 공감(?)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당사국 엔지니어게 반올림 이의 제기하면 이것도 맞고 저것도 맞고 그런식의 답변을 듣기에 그런가부다 합니다.

첨부 그림과 같이

미국에서 사용하는 인치자는 2.4,8,16,32,64 등분을 한 자(ruler)를 기본으로 사용하는데 아직까지도 가까이하지만 친해지기 어려운 사이 같은 자 입니다.

그래서 미국도 1인치를 십진수로 나누는 자 를 병행하여 사용하지만 이는 미터법에 익숙한 다른 국가들에서 더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분수의 한계로 인해 음의 수를 분수로 나눈 수와 같이 십진법으로 나눈 수도 병해하여 사용중이다.

예) 0.1 inch= 0.100 inch / 1/8 inch= 0.125 inch

항공기에 사용하는 미국 단위계의 인치를 이해하는것은 항공기 정비의 기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