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국단위계, 야드파운드법, 미터법 바로 알기
    카테고리 없음 2022. 2. 16. 16:03

    2022-2 미국 단위계 중 하나인 인치를 기초부터 알아보는 공부를 시작합니다.

    1. 미국단위계, 2. 야드파운드법, 3. 미터법 바로 알기.

    인치의 어원

    인치는 one twelveth를 뜻하는 라틴어 unica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옛 영어의 unce와 ynche로 파생되었는데, unce는 온스로, ynche는 inch(인치)로 각각 파생되었다.

    사람의 엄지손가락의 너비와 같은 길이로 정해지는 것에서 유래했다.

    과거 유럽의 1인치의 길이는 시대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기도 했으나 현재 길이인 2.54cm(센티미터)로 1959년부터 1인치는 25.4mm (밀리미터)와 동일하다고 정의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인치 표기

    in 또는 ''로 나타내기도 한다.

    인치(inch)는 야드 파운드법과 미국 단위계의 길이 단위이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1 인치는 정확히 2.54 cm(센티미터)이고 1 피트의 1/12로 정의된다.

     

    1. 미국 단위계(United States customary units, United States customary system, USCS, USC)는 미국에서 사용하는 단위계로, 그 기원은 잉글랜드 단위계이다. 야드파운드법과 많은 부속 단위를 공유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단위계이며, 주로 부피 단위에서 야드파운드법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미국의 야드 및 파운드는 1893년의 Mendenhall 법령으로 미터법의 원기를 기초로 해서 정의되고 있으며 영국과 미국 양국에서 같은 명칭의 단위를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조금 다른 값으로 정의 되고있다.

    미국에서 사용하는 미국 단위계는 야드파운드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미묘하게 다른데, 1824년에 영국이 야드파운드법을 재정리할 때 미국은 이를 따라가지 않고 옛날식 단위를 그대로 썼기 때문이다. 1958년, 미국과 영국은 1 야드의 길이를 0.9144 미터로 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전까지는 영국에서는 1 야드는 약 0.914398416 m 였다. (Sears et al. 1928. Phil Trans A 227:281)

     

    2. 야드파운드법(—法, 영어: Imperial units)은 영국에서 사용되는 단위계로 Imperial은 대영제국을 의미한다. 즉 '대영제국 단위계'라는 뜻이다. 한국어 명칭 '야드파운드법'은 기본 단위인 야드와 파운드에서 가져왔다.

    야드파운드법은 고대 이집트 · 바빌로니아에서 비롯되었으며 미터법과 미국 단위계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단위계인데, 동아시아 전통 단위계인 척관법과 비슷한 점이 많다.

    영국 도량형은 길이의 단위를 인치, 무게의 단위를 파운드, 부피의 단위를 파인트 등을 쓴다. 이 단위들은 1215년 '대헌장'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영국은 1584년 엘리자베스 여왕의 절대군주제하에서 도량형 제도를 통일 제정하여 60진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야드-파운드법을 제정하였다.

     

    영국에서의 현행 도량형법은 1855년에 제정된 것으로(그후 미터 조약 가맹 등으로 약간의 수정이 행해지고 있다), 야드 및 파운드는 각각 법정 야드 원기 및 파운드 원기에 기초해서 정의되고 있다. 1968년에 수정되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었다. 이 도량형에서는 크고 작은 단위 사이에 매우 특이한 환산을 적용하였는데, 그 예로 1피트(ft)는 12인치(in), 1야드(yd)는 3피트(ft), 1마일(mi)은 1,760야드(yd)로 정하였다.

    3. 미터법(프랑스어: Système métrique) 현재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단위이다.

    미터(m)를 길이, 리터(ℓ)를 부피, 킬로그램(kg)을 무게의 기본 단위로 하는 십진법적 도량형 단위법으로, 지구자오선 길이의 1/4000만을 1m, 각 모서리의 길이가 1/10m인 정육면체와 같은 부피의 4℃ 물의 질량을 1kg, 그 부피를 1ℓ로 하고, 배량(倍量:곱하기 양)에는 그리스어, 분량(分量:나누기 양)에는 라틴어에서 따온 접두어 등을 각각 붙였다. 1790년 프랑스 정치가 탈레랑(C.M.Talleyrand)이 제안해서 파리과학아카데미가 정부의 위탁(委託)을 받고 만든 프랑스 기원의 국제적인 도량형단위계다. 지금은 3국가(미국, 미얀마, 라이베리아)를 제외하고 전 세계가 공식 단위계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미터법 보급은 순조롭지 않았고, 프랑스에서는 1840년 강제 집행하기에 이르렀다. 1875년 국제적인 미터조약이 성립되었고, 이어 1889년 국제원기가 제정되었으며, 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국제적인 단위의 길이표준을 크립톤 86(86Kr) 원자가 방사하는 오렌지색의 스펙트럼선 파장으로 바꾸는 등, 개정의 노력이 장기간에 걸쳐 계속되었다. 그러는 동안 각 국가도 이 미터법의 전용에 힘쓰게 되어 1967년에는 미터법을 국법으로 채용한 나라가 70개국을 넘어섰고, 학술적인 제반 단위는 거의 미터법을 토대로 짰다.

     

    1)센티미터 (프랑스어:centimètre, 영국 영어: centimetre, 미국 영어: centimeter, 기호: cm)는 1미터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의 단위다. CGS 단위계의 기본 단위다.

    2) 데시미터 (영국 영어: decimetre, 미국 영어: decimeter, 단위: dm)는 미터의 십분의 일에 해당하는 길이의 단위이다. 현재 길이의 SI 기본 단위다. 간단하게 센티미터로 써서 10cm다. 과학적 표기법으로는 100×10-3 m(공학 기호법) 또는 1 E-1 m(지수 기호법) — 각각 10 × 1 cm 또는 1 m / 10를 의미한다. 부피를 재는 단위인 1 세제곱 데시미터는 1리터다. (1901년과 1964년 단위 사이에는 약간의 개념적 차이가 있다.

    미터법이 과학적이나 항공분야는 제 2차 세계 대전을 지나면서 미국에서 급격히 발전한 항공 산업 영향으로 인해 미국 단위계가 전세계적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음에 항공 산업 이외 일반 기계분야에도 인치 사용은 여전하다.

     

    1인치는 2.54 cm 정도로 알고 사용하나 인치 사용함에 있어 미터법 변환이 어렵기에 1 mm(밀리미터)를 0.040(인치)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하고 사용 할 수 있다.

     

    1 in = 0.0254 m

    1 in = 2.54 cm

    1 in = 25.4 mm

     

    1 m = 39.370079 in

    1 cm = 0.393701 in

    1 mm = 0.03937 in

    1 m = 40 in

    1 cm= 0.4 in

    1 mm = 0.040 in

     

    참고: 최악의 군주가 만든 최초의 헌법으로 인류정치사중 1215년의 영국의 대헌장은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라 하는데 현대인류의 정치헌정문명의 원류성 문건이다.

    영국은 앵글로색슨의 전통으로 미국으로 연신된 역사인데 독특한 인류문명의 지류로 보통법 판례법의 고향이며 현대정치문명의 이해 시 필수적인 곳으로 독특한 문명체계인 영국사에서 시작된다.

    [출처] 영국의 대헌장-최악의 군주가 만든 최초의 헌법|작성자 박기수

Designed by Tistory.